반응형 mripd1 MRI T1, T2, PD 차이 : 어떤 상황에서 쓰이나 MRI(자기공명영상)은 인체 내부를 다양한 모드로 관찰할 수 있는 획기적인 영상진단 기법입니다. 특히 'T1 강조영상', 'T2 강조영상', '프로톤밀도(PD) 강조영상' 등을 통해 조직별 특성을 달리 표현하여 정확한 진단에 큰 도움을 주는데요.T1, T2, PD 각각이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며 영상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임상적으로 언제 많이 활용되는지 정리해 볼게요 :)1. MRI 기본 원리1) 기본 개념MRI는 인체 내 수소원자핵(프로톤)의 자기적 성질을 이용해 그들이 외부 자기장과 고주파 자극을 받은 뒤 회복하는 신호를 포착하여 영상을 만듭니다.자극 후 프로톤들이 자기장 상태로 돌아가는데 걸리는 시간 등을 다르게 강조하여(파라미터 조절) 다양한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T1 시간',.. 2025. 3.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