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글래스고혼수척도(GCS)란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되나

by rufkm 2025. 2. 12.
반응형

글래스고혼수척도(GCS)

 

뇌 손상 환자나 의식 수준이 저하된 환자를 평가할 때 글래스고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 GCS)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지표입니다. 1974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Glasgow) 대학의 신경외과 의사들이 개발한 이 척도는 환자의 눈뜨기(Eye Opening), 언어반응(Verbal Response), 운동반응(Motor Response) 세 영역을 구분해 숫자로 점수를 매기는 간단하면서도 실용적인 방법이죠. 


1. 글래스고혼수척도(GCS) 기본 개념

세 가지 평가 항목

  • 눈뜨기(Eye Opening, E)
    : 환자가 자극(말, 통증 등)에 어떻게 반응하여 눈을 뜨는지를 살펴봅니다.
  • 언어반응(Verbal Response, V)
    : 환자가 말을 할 수 있는지, 말의 내용이 논리적인지 등을 평가합니다.
  • 운동반응(Motor Response, M)
    : 통증이나 명령에 대해 움직임을 보이는지를 점검합니다.

점수 범위(최저 3~최고 15점)

  • GCS 점수는 각 항목에서 부여된 점수를 모두 더해 총점이 됩니다.
    • 눈뜨기(E): 1점(눈 안 뜸) ~ 4점(자발적 열림)
    • 언어반응(V): 1점(반응 없음) ~ 5점(인지력 있는 대화 가능)
    • 운동반응(M): 1점(반응 없음) ~ 6점(명령에 따라 움직임)
  • 예를 들어 “눈뜨기 3점 + 언어반응 4점 + 운동반응 6점 = 총 13점”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항목별 세부 평가 기준

1) 눈뜨기(Eye Opening, E)

  • E4 (4점): 자발적으로 눈을 뜸 (Spontaneous)
    : 주변 자극 없이도 스스로 눈을 뜨고 깨어있는 상태.
  • E3 (3점): 말소리에 반응해 눈을 뜸 (To Sound)
    : 소리나 말로 부르거나 지시했을 때 눈을 뜨는 정도.
  • E2 (2점): 통증 자극에만 반응해 눈을 뜸 (To Pain)
    : 단순 말로는 반응 없고 통증을 가했을 때 눈을 뜨는 경우.
  • E1 (1점): 전혀 눈을 뜨지 않음 (No Eye Opening)
    : 어떠한 자극에도 눈을 뜨지 않음.

2) 언어반응(Verbal Response, V)

  • V5 (5점): 인지력 있는 대화 가능 (Oriented)
    : 자기 이름, 시간, 장소 등을 인지하고 대화에 문제가 없는 상태.
  • V4 (4점): 혼란스러운 말 (Confused)
    : 말은 하나 논리적 일관성이 부족하고 질문에 대해 혼동된 답을 함.
  • V3 (3점): 부적절한 단어 (Inappropriate Words)
    : 문장은 되지 않고 질문과 전혀 관련 없는 단어만 내뱉음.
  • V2 (2점): 이해 불가능한 소리 (Incomprehensible Sounds)
    : ‘신음’, ‘웅얼거림’ 등 의미를 해석하기 어려운 음성만 냄.
  • V1 (1점): 전혀 반응 없음 (No Verbal Response)

3) 운동반응(Motor Response, M)

  • M6 (6점): 명령에 따라 움직임 (Obeys Commands)
    : “손을 들어보세요” 등 구체적 지시에 반응해 의도적으로 움직임.
  • M5 (5점): 통증 위치를 정확히 뿌리치려 함 (Localizes Pain)
    : 통증이 가해지는 부위를 손으로 정확히 밀어내거나 뿌리침.
  • M4 (4점): 회피 반응 (Withdraws to Pain)
    : 통증을 느끼지만 정확히 위치를 밀치는 것은 아니라도 팔/다리로 통증을 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임.
  • M3 (3점): 굽힘 반응(Flexion, 병적 굴곡) (Decorticate Posture)
    : 심한 중추신경 손상 시 통증 자극에 팔을 굽히고 손목을 굴곡시키는 자세를 취함.
  • M2 (2점): 폄 반응(Extension, 병적 폄) (Decerebrate Posture)
    : 통증 자극 시 팔/다리를 쭉 뻗는 모습. 대뇌보다 더 아랫부분(중뇌, 뇌간 등) 병변 시에 흔히 나타남.
  • M1 (1점): 반응 없음 (No Motor Response)

3. 점수 해석과 의의

총점 해석

  • 13~15점: 경도 뇌손상 혹은 비교적 깨어 있는 상태
  • 9~12점: 중등도 뇌손상 가능성
  • 8점 이하: 중증 혼수 상태로 기도 확보나 즉각적 처치 필요

임상적 활용

  • 외상성 뇌손상(TBI) 환자 분류: 응급실에서 뇌손상 정도를 파악해 CT 촬영 우선순위나 집중치료 여부 등을 결정.
  • 의식 수준 경과 관찰: 중환자실, 신경과 병동 등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GCS를 반복 체크해 환자 상태가 호전되는지 악화되는지 추적함.
  • 다른 지표(동공 반응, 활력 징후 등)와 함께 종합 평가: GCS만으로는 세밀한 뇌 기능 평가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CT/MRI 결과나 임상 소견도 함께 고려.

4. 주의 사항과 한계

언어장애/특수 상황

  • 구강손상, 언어장애, 청각장애 등이 있는 환자의 경우 Verbal 점수를 정확히 평가하기 어려울 수 있음. 이때는 그에 맞는 수정된 척도 혹은 별도의 기록을 남기는 게 필요합니다.

약물 영향

  • 진정제나 마취제가 투여된 상태에서는 GCS 점수가 인위적으로 낮게 측정될 수 있음. 약물 투여 이력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단일 지표로 전부 해석 어려움

  • GCS는 의식 수준을 신속히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하지만 모든 신경학적 상태를 완벽히 반영하진 않습니다. 추가 검사(영상 진단, 뇌간 반사 검사 등)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글래스고혼수척도(GCS)는 간단하면서도 신뢰도 높은 의식 상태 평가 척도로 전 세계 응급실 및 중환자실에서 폭넓게 사용됩니다. 눈뜨기(E), 언어반응(V), 운동반응(M) 세 가지를 각각 점수화해 총점을 구함으로써 뇌손상 정도나 혼수 수준을 빠르게 구분할 수 있죠.

  • E(4점) + V(5점) + M(6점) = 최대 15점이며
  • 8점 이하인 경우 혼수 상태로 간주해 즉각적이고 적극적인 관리가 요구됩니다.

하지만 GCS 역시 환자의 개별 상황(언어장애, 약물 영향 등)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다른 신경학적 검사나 환자 상태 관찰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그럼에도 응급 현장부터 중환자실까지 GCS는 임상에서 필수적인 첫 번째 판단 지표로 자리 잡았으며 환자 경과를 간단히 추적 기록하기에도 탁월한 방법입니다.

 이 블로그 포스팅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치료 및 관리 방법은 반드시 전문 의료진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