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266 몸속에 들어온 미세플라스틱, 배출 안되고 쌓이는 걸까? 최근 뉴스나 SNS에서 미세플라스틱이라는 단어를 접하는 일이 잦아졌습니다. 우리가 매일 섭취하는 수돗물, 생수, 해산물, 심지어 공기 중에도 아주 작은 플라스틱 입자들이 들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우려가 커지고 있죠. 그렇다면 이런 미세플라스틱이 정말로 몸속에 축적되어 배출되지 않는 것일까요? 1. 미세플라스틱이란?정의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은 지름 5mm 이하의 아주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말합니다. 더 미세한 입자는 나노플라스틱(Nanoplastics)으로 구분되기도 하죠.플라스틱 제품이 햇빛, 물리적 마찰, 화학 반응 등으로 서서히 분해되며 생성되거나 고의로 제조된 마이크로비즈(스크럽제 등) 형태로 배출되기도 합니다.흔한 노출 경로음식물: 해산물(특히 조개, 굴, 새우 등)이.. 2025. 2. 13. INR(국제표준화비율) : 혈액 응고 판독 지표 의사나 간호사로부터 'INR 수치가 얼마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특히 와파린(Warfarin) 등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환자나 심장판막 수술 이력이 있는 분이라면 더욱 익숙한 지표일 것입니다. 이 INR(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국제표준화비율)은 혈액 응고 정도를 확인하는 대표적 검사인데 INR이 무엇이며, 어떤 원리로 활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INR(국제표준화비율)란 무엇인가?혈액 응고 검사 ‘프로트롬빈 시간(PT)’의 표준화과거에는 PT(Prothrombin Time)라는 검사로 혈액이 응고되는 시간을 측정했지만 시험 시약(혈청)마다 민감도가 달라 결과가 상이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T 결과값을 국제적으로 동일 기준으로 환산한.. 2025. 2. 12. 완전 비경구 영양(TPN) 개요 및 주의사항 완전 비경구 영양(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은 입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없거나 섭취하더라도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환자에게 정맥주사를 통해 영양소를 공급하는 치료방법입니다. 소화관을 우회하여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 필수 영양소를 직접 혈류로 투여해 주기 때문에 소화기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중증 환자나 수술 후 회복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TPN(완전 비경구 영양)의 기본 개념비경구(Parenteral) 영양이란?비경구 영양은 소화관(위, 장 등)을 사용하지 않고 주사(정맥, 근육, 피하 등)로 영양을 공급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합니다.‘완전(Total)’이라는 말은 환자의 일일 필수 영양 요구량 전부를 .. 2025. 2. 12. 글래스고혼수척도(GCS)란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되나 뇌 손상 환자나 의식 수준이 저하된 환자를 평가할 때 글래스고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 GCS)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지표입니다. 1974년 스코틀랜드 글래스고(Glasgow) 대학의 신경외과 의사들이 개발한 이 척도는 환자의 눈뜨기(Eye Opening), 언어반응(Verbal Response), 운동반응(Motor Response) 세 영역을 구분해 숫자로 점수를 매기는 간단하면서도 실용적인 방법이죠. 1. 글래스고혼수척도(GCS) 기본 개념세 가지 평가 항목눈뜨기(Eye Opening, E): 환자가 자극(말, 통증 등)에 어떻게 반응하여 눈을 뜨는지를 살펴봅니다.언어반응(Verbal Response, V): 환자가 말을 할 수 있는지, 말의 내용이 논리적인지 등을 평.. 2025. 2. 12.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증상과 원인: 우리 아이 어떻게 지켜줄까? 영유아 자녀가 갑작스러운 설사와 구토, 고열 등을 보인다면 로타바이러스(Rotavirus) 감염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로타바이러스는 특히 5세 이하의 아이들에게 흔히 발생해 탈수와 같은 위험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부모의 세심한 관찰과 빠른 대응이 중요합니다. 1. 로타바이러스란?장 염증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타바이러스는 주로 위장관(소장)을 침범해 심한 설사와 구토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입니다. 영유아의 첫 번째 바이러스성 장염 원인으로 꼽히기도 합니다.전 세계적으로 흔하며 특히 위생 환경이 부족한 지역이나 어린이집, 유치원 등 단체생활 공간에서 매우 빠르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감염 경로분변, 구강 경로가 대표적입니다. 감염된 아이의 대변에서 바이러스가 배출되고 그것이 손이나 물건 표면을 통해.. 2025. 2. 12. 파종혈관내응고(DIC) 증상, 원인, 치료법 : 응고 및 출혈 동시 발생 급성 또는 중증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중, 혈액 응고 과정에 심각한 이상이 생겨 “피가 쉽게 멈추지 않는 출혈 증상”과 동시에 미세 혈전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바로 파종혈관내응고(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라는 위험 상태입니다. DIC는 적절한 대응이 늦어질 경우 환자 생존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를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DIC의 대표적인 증상, 발생 원인, 그리고 치료 원칙을 알아보겠습니다.1. 파종혈관내응고(DIC)란 무엇인가?정의DIC는 온몸의 미세혈관에서 혈액 응고 현상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상적인 응고계 기전이 극도로 활성화되어, 미세혈전(혈전마이크로임볼리)이 여러 기관.. 2025. 2. 11.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45 다음 반응형